박상하의 blog

"사회적 기업 1"을 출간하고 나서 본문

강의게시판

"사회적 기업 1"을 출간하고 나서

changebuilder 2009. 10. 13. 13:01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사회과학분야 우수학술도서로 선정 

사회적기업(1)표지.jpg

첨부이미지 미리보기

 

 

사회적기업에 관한 호기심과 기대감으로 시작한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번역작업은 쉽지 않았다. 겨울방학 동안 편집작업은 전체를 다시 쓰는 느낌이었다. 제목을 어떻게 잡을것인가도 고민이었는데

다행히 2편 작업을 계속 진행하는데 동의해주신 교수님들께 감사한다. 2편 번역을 결정하고 나니 제목은 자연스럽게 시리즈로 결정되었다. 사실 대학에서 강의교재로 적합할 것 같아 처음엔 '사회적기업론'으로 했다가 사회적기업을 알리는 계기도 될 것같아서 일반 대중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1편 이론과 실제편을 출간하고 나니 혹시나 잘못된 번역은 없었는지 또는 의미가 잘못 전달되지나 않았는지 걱정스럽다. 만약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전적으로 역자의 책임을 무겁게 느낀다.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에서 하나의 화두처럼 등장한 사회적 기업을 소개하고 논의하는데 동참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한 일이다.

앞으로 번역작업이 계속되는 2편은 유럽 EMES연구 네트워크가 역시 발간한 것으로 2006년도 유럽 노동통합

사회적기업들에 대한 11개 국가들을 분석하여 소개한 책이다. 이번 번역에 함께해주신 목포대 교수님들께 감사드리며 시그마프레스에도 감사드린다. 아무쪼록 우리나라 사회적기업 발전에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EMES네트워크의 소개>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BORZAGA, C. and DEFOURNY, J., eds. (2001) Routledge, London, 386p.

 

By comparing the different national experiences of each country, the book traces the most significant developments in social entrepreneurship emerging in Europe. The work also examines the more traditional non-profit or third sector organizations. The final chapters present an initial attempt to outline a theory of social enterprise. The research confirm!s that organizations which have simultaneously an entrepreneurial dynamic and a social aim are expanding in many countries. The contributors suggest that these enterprises not only enhance social services in welfare states, but also supply an additional and often innovative provision, mixing public and private resources, and voluntary and paid workers. For these reasons, social enterprises deserve serious attention from policy makers, practitioners and academics interested in a more pluralistic economy and a new Welfare Society.


'강의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남군 전문가초청 특강  (0) 2011.12.21
자활공동체의 사회적기업전환전략  (0) 2011.06.30
스웨덴 복지모델 7  (0) 2006.10.20
스웨덴 복지모델 6  (0) 2006.10.20
스웨덴 복지모델 5  (0) 2006.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