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칼럼
사회복지도 마케팅이다
changebuilder
2005. 2. 28. 21:04
(박 상 하/나주대학 사회복지과 교수)
현대사회는 늘 변화하기 때문에 시대를 꿰뚫어보는 통찰력이 부족하거나 밀려오는 파도의 주파수를 놓치게되면(fine tuning) 기업은 매출이 떨어지고 경쟁력이 약화된다. 개인도 조직사회 구성원으로서 조화롭게 대응하지 못할 때 자아정체감에 빠지고 시대에 뒤떨어지는 낙오자가 되기 쉽다.
역사적으로 사상과 이념을 가르는 이데올로기는 이제 낡고 구태의연한 유물처럼 치부되는 세상이 되었다. 우리는 정치적으로는 민주주의,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를 이데올로기로 채택하고 있지만 사회주의 국가에서 잘 한 것은 받아들이는 혼합주의 형태를 지향하고 있다. 현대는 글로벌화된 세계화로 국경없이 자국의 이익에 따라 국제적 행동이 결정되기 때문에 이웃나라를 열심히 주시하며 살아간다. 즉, 모든 나라가 경쟁한다.
최근 사회복지는 우리사회의 커다란 화두로 등장했지만 여전히 공급이 수요를 일방적으로 결정하고 있으며 가치의 변화를 피부로 느끼지 못한 것 같다.
사회복지의 이념과 가치가 자선에서 시민권으로, 개별적 가치에서 보편적 가치로, 특정인에서 모든 국민으로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형식의 틀만 변화했을 뿐 내용면에서 예산의 증가나 사회복지 인력의 변화 외엔 별로 달라진게 없다.
이제는 사회복지도 마케팅시대에 진입했다.
사회복지는 국가예산으로 하는 사업이며 인건비도 지원해주고 시설도 신축해주는, 그래서 자기돈 들이지 않고도 할 수 있는 사업이라는 이미지를 깨야 한다. 이제는 클라이언트도 수용자 중심에서 이용자중심으로 바뀌면서 무료에서 유료화로 옮겨가고 있다. 물론 아직까지 사회복지 인프라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경쟁과 수익창출을 강요할 수는 없지만 시대적 흐름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사회복지가 공공재(public goods)로 인식되어 마치 공짜인 것처럼 무임승차(free-ride)하려는 생각이 근본적인 문제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복지의 질적 수준을 한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방법은 경쟁을 도입하는 것이다.
사회복지현장은 수요자 즉, 클라이언트가 결정해야 함에도 사회복지사업은 국가 돈으로 운영되는 부분이 크기 때문에 공급하는 쪽에 신경을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이유로 자연스럽게 국가에서 공급된 예산범위 안에서만 수요를 충족시키는 일에 매진할 뿐이며 추가적인 노력에 소홀하기 쉽다.
사회복지가 보호되고 육성해야 할 국가적 사업이긴 하지만 기관간, 시설간 객관적이고 명확한 지표에 의해 평가되고 서로 경쟁하게 만들어야 한다.
경쟁한다는 것은 괴롭고 힘든 일이다. 그러나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앞으로는 사회복지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마케팅이 필요한 분야가 될 것이 분명하다. 이런 점에서 국가는 사회복지사업에 민간자본이나 기업참여를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활성화시켜 국가예산을 효율적으로 집행할 필요가 있다. 기업은 돈이 되는 곳에 투자하게 마련이다. 민간과 기업이 참여하면 경쟁이 살아나고 사회복지종사자의 처우가 개선된다.
사회복지법인이 결산시 이익이 남거나 수익이 등재되면 이상한 눈으로 바라보는 것이 현실이다. 후원자개발이나 모금활동은 사회복지사업에서 중요한 마케팅분야이다. 후원자가 없는 기관은 자원봉사자도 찾아오지 않는다. 돈을 모으는 것만이 마케팅이 아니다. 자원봉사자를 모집하고 관리하는 것, 자기기관을 홍보하는 것, 프로그램 활용을 통해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 이 모든 것이 마케팅이다.
나주신문칼럼(2003.6.23)
현대사회는 늘 변화하기 때문에 시대를 꿰뚫어보는 통찰력이 부족하거나 밀려오는 파도의 주파수를 놓치게되면(fine tuning) 기업은 매출이 떨어지고 경쟁력이 약화된다. 개인도 조직사회 구성원으로서 조화롭게 대응하지 못할 때 자아정체감에 빠지고 시대에 뒤떨어지는 낙오자가 되기 쉽다.
역사적으로 사상과 이념을 가르는 이데올로기는 이제 낡고 구태의연한 유물처럼 치부되는 세상이 되었다. 우리는 정치적으로는 민주주의,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를 이데올로기로 채택하고 있지만 사회주의 국가에서 잘 한 것은 받아들이는 혼합주의 형태를 지향하고 있다. 현대는 글로벌화된 세계화로 국경없이 자국의 이익에 따라 국제적 행동이 결정되기 때문에 이웃나라를 열심히 주시하며 살아간다. 즉, 모든 나라가 경쟁한다.
최근 사회복지는 우리사회의 커다란 화두로 등장했지만 여전히 공급이 수요를 일방적으로 결정하고 있으며 가치의 변화를 피부로 느끼지 못한 것 같다.
사회복지의 이념과 가치가 자선에서 시민권으로, 개별적 가치에서 보편적 가치로, 특정인에서 모든 국민으로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형식의 틀만 변화했을 뿐 내용면에서 예산의 증가나 사회복지 인력의 변화 외엔 별로 달라진게 없다.
이제는 사회복지도 마케팅시대에 진입했다.
사회복지는 국가예산으로 하는 사업이며 인건비도 지원해주고 시설도 신축해주는, 그래서 자기돈 들이지 않고도 할 수 있는 사업이라는 이미지를 깨야 한다. 이제는 클라이언트도 수용자 중심에서 이용자중심으로 바뀌면서 무료에서 유료화로 옮겨가고 있다. 물론 아직까지 사회복지 인프라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경쟁과 수익창출을 강요할 수는 없지만 시대적 흐름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사회복지가 공공재(public goods)로 인식되어 마치 공짜인 것처럼 무임승차(free-ride)하려는 생각이 근본적인 문제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복지의 질적 수준을 한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방법은 경쟁을 도입하는 것이다.
사회복지현장은 수요자 즉, 클라이언트가 결정해야 함에도 사회복지사업은 국가 돈으로 운영되는 부분이 크기 때문에 공급하는 쪽에 신경을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이유로 자연스럽게 국가에서 공급된 예산범위 안에서만 수요를 충족시키는 일에 매진할 뿐이며 추가적인 노력에 소홀하기 쉽다.
사회복지가 보호되고 육성해야 할 국가적 사업이긴 하지만 기관간, 시설간 객관적이고 명확한 지표에 의해 평가되고 서로 경쟁하게 만들어야 한다.
경쟁한다는 것은 괴롭고 힘든 일이다. 그러나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앞으로는 사회복지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마케팅이 필요한 분야가 될 것이 분명하다. 이런 점에서 국가는 사회복지사업에 민간자본이나 기업참여를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활성화시켜 국가예산을 효율적으로 집행할 필요가 있다. 기업은 돈이 되는 곳에 투자하게 마련이다. 민간과 기업이 참여하면 경쟁이 살아나고 사회복지종사자의 처우가 개선된다.
사회복지법인이 결산시 이익이 남거나 수익이 등재되면 이상한 눈으로 바라보는 것이 현실이다. 후원자개발이나 모금활동은 사회복지사업에서 중요한 마케팅분야이다. 후원자가 없는 기관은 자원봉사자도 찾아오지 않는다. 돈을 모으는 것만이 마케팅이 아니다. 자원봉사자를 모집하고 관리하는 것, 자기기관을 홍보하는 것, 프로그램 활용을 통해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 이 모든 것이 마케팅이다.
나주신문칼럼(2003.6.23)